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머튼이 제시한 아노미 상태에 대한 개인의 적응 양식

by 일블 2023. 10. 26.
반응형

로버트 K. 머튼(Robert K. Merton)은 그의 사회학적 이론에서 목표와 수단 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섯 가지 주요 사회적 반응 패턴을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아노미(Anomie) 상황에서 발생하며, 구체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조 (Conformity)

동조는 사회 구성원이 법률적 수단을 사용하여 사회적으로 승인된 목표를 달성하는 패턴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사회 구성원이 따라가는 일반적인 행동 패턴으로, 법과 규칙을 준수하며 사회에서 허용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대학에 진학하고 학위를 얻는 것은 동조의 사례일 수 있습니다.

 

2. 혁신 (Innovation)

혁신은 문화적 목표는 수용하는 반면, 제도적 수단은 거부하는 유형입니다. 법률적인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비법적이거나 비윤리적인 수단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는 패턴입니다. 예를 들어,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도둑질을 하는 것은 혁신의 사례일 수 있습니다.

 

3. 의례주의 (Ritualism)

의례주의는 사회적으로 승인된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동안, 법률적인 수단을 계속 사용하지만 목표 달성을 포기하고 일상적인 루틴에 머무는 패턴입니다. 이들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서도 사회적 규칙을 준수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자리를 얻기 위해 계속 노력하면서도 실제로는 경제적 성공을 포기하는 사람은 의례주의의 사례일 수 있습니다.

 

4. 도피주의 (Retreatism)

도피주의는 법률적인 수단을 포기하고 사회적으로 비승인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려는 패턴을 나타냅니다. 이들은 종종 사회적 제도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경제적이나 사회적인 활동을 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약 중독자가 도피주의 패턴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5. 반역 (Rebellion)

반역은 현재의 사회적 목표와 수단에 반대하며, 새로운 목표와 수단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패턴입니다. 이들은 사회적 변혁을 이루려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으며, 종종 사회 운동이나 정치 활동에 참여합니다. 예를 들어, 사회 정의를 위해 시민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반역적인 패턴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머튼의 이러한 패턴은 목표와 수단 간의 불균형이 어떻게 사회적 행동을 형성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아노미와 사회적 적응에 대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반응형